1.도면의 정의
-도면은 집,건물(건축),다리/댐/도로/철도/터널(토목), 기계(자동차,산업기계,전자제품등) 등을
실수없이 정확한 사이즈로 조립하기 위해서 만드는 그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도면의 종류
-도면의 종류는 조립도,부분 조립도,부품도,공정도,상세도,전개도 등이 있지만 우리는 여기서
가장 기본이며 가장 많이 쓰이는 부품도를 보는 법을 알아볼 것 입니다. 부품도가 있어야
나머지 조립도,부분조립도,공정도상세도,전개도를 알 수 있습니다.
3.도면의 크기
–도면의 크기는 보통 부품의 크기 및 복잡한 구조에 의해 달라집니다. A4와 A3만 알고
있어도 됩니다. 그외 큰사이즈들은 도면을 접하다보면 자연스레 알게 됩니다. 굳이 말씀
안드려도 알지만 프린터 용지와 같은
-A4사이즈 가로:가로 297, 세로 210
-A4사이즈 세로:가로 210, 세로 297

-A3사이즈 가로:가로 420, 세로 297 입니다.
-A3사이즈 세로:세로 297, 세로 420 입니다.

※상기의 사이즈에 맞게 도면을 그린다는 점을 알고 계시면 됩니다.
4.스케일(척도)
척도는 도면의 그림을 크게 확대하고 작게 축소하는 것을 척도라합니다.
척도는 아래의 규칙이 있습니다. 먼저 참고만 하시고
쉽게 생각해서 작은 그림이 잘 안보일때 2배 3배 이런식으로 커진다고 보면 됩니다. 큰그림은
도면에 다 못담을때 2배,3배 작아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것은 작아질때 도면치수도 작아지고
커질때 도면치수보다 커지기 때문에 확대 축소 비율을 확인하여 치수확인을 해야합니다.


4.선의 종류와 사용용도
선의 종류에는 많은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굵은실선,가는실선,숨은선,
일점쇄선,파단선,해칭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도면보는법 첫 포스팅은 도면의 정의에서부터 선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다음포스팅에서는
실제 도면을 다루는 제3각법과 투상도에 의한 도면 해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